[칼럼] 애도 우리도 아프면 안 돼, 비빌 언덕이 없거든! (윤정인)
애도 우리도 아프면 안 돼, 비빌 언덕이 없거든!
- 칼럼니스트 윤정인
[엄마 과학자 생존기] 맞벌이 부부의 ‘감염을 피하고 싶어서’
바야흐로…백신과 치료제 없는, 감염증과 전쟁을 벌이는 시절이 와버렸다. ‘진화’라는 ‘만랩’ 능력치를 보유하여 인간 ‘유저’를 좌절시켜온 코로나바이러스는 신종플루와 메르스를 거쳐 이제 ‘코로나19’라는 ‘초사이언’이 되었다.
항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이들이 혹여라도 심심할까, 혹은 매너리즘에라도 빠지지 않을까 걱정한 신의 배려인 것인지, 대학원생들에게 큰 좌절을 선사하고 싶었던 신의 장난인진 모르겠으나, 전 세계에 코로나19가 엄청난 충격을 준 것은 자명하다.
그 사태는 나에게 퇴근 없는 삶을 선사했으며, 나뿐만 아니라 전 세계 양육자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다. 코로나19 덕분에 나는 지금, 출퇴근 시간과 식사시간마저 보장되지 않는, 인간의 삶을 포기한 양육 지옥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아아, 양육자들이여, 지금 당장 돌봄 쿠폰으로 영양제 수액이라도 맞으시길.
◇ 애가 아프면 답 없는 맞벌이 가정… 이미 마스크 쌓아놓고 살았다
이번 코로나 사태를 통해 우리는 마스크가 세상에서 가장 귀한 물건으로 바뀌는 것을 목격했다. 살면서 손 소독제 구하기가 이렇게 힘들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그러나 나는 당황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우리 집엔 늘 손 소독제와 덴탈 마스크와 황사 마스크가 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엄마 아빠 모두 직장 다니고, 엄마 아빠의 가족은 모두 집에서 2~3시간 떨어진 곳에 살고 있다. 그런 관계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이라는, 기관 돌봄이 아니면 아이를 키울 수 없는 우리에게 감염병은 절대로 걸려선 안 되는 것이었다.
아이가 기관에 다니면 입학과 동시에 등원하면 안 되는 특정 감염병을 안내받는다. 우리네 상식선에서 전염 가능한 감염성 질환에 걸릴 경우, 의사의 진료소견서를 제출하고, 등원 확인서를 내야 등원할 수 있다. 해열제 복용으로도 조절되지 않는 고열이라면 돌발 상황에 대비해 기관에 보낼 수 없다.
즉, 가벼운 감기나 알레르기성 결막염 같은 것을 제외하곤 사실상 감염병에 걸리면 등원할 수 없다는 얘기. 등원할 수 없다는 것은 부모 중 누군가는 출근할 수 없거나, 출근해야 한다면 각종 찬스를 동원해야 한다는 ‘비상 돌봄 시국’이 도래한다는 얘기다.
법정 전염병에 아이가 걸리면 기관에 절대 보내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다른 아이들이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모가 모두 일한다면 참 곤란해진다. 법정 전염병이 전염력을 잃는 시기는 대개 발병 후 일주일. 부모는 최대 5일 출근할 수 없다. 휴가 낼 수 있으면 다행이지만, 그러기 어려운 경우도 분명히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비상 돌봄 시국’에 정부에서는 긴급 아이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긴급 아이돌봄 서비스는 기관에 다니는 아이가 전염병에 걸렸을 때, 아이를 돌봐줄 돌보미 선생님을 맺어주는(Matching) 하는 서비스다. 아이가 다시 기관에 갈 때까지 돌봐주며, 이용금의 50%도 보전해주는, 매우 좋은 제도다.
나도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센터에 직접 연락해본 적 있었다. 아이가 그날 수족구병 사촌인 헤르판지나(수포성 구내염)를 확진 받았기 때문이다. 나는 하루 연차를 쓰고 센터에 연락해 긴급 아이돌봄 서비스를 요청했다. 남은 4일간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필요했다. 나의 사정을 말하자 서비스 담당자가 무척 당황해했다.
“어머니, 지금 선생님이 없어서 바로 매칭이 어렵습니다. 다음 달 초에나 가능합니다.”
“아이가 법정 전염병에 걸렸을 때 이용할 수 있는 긴급 서비스가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확인해보시고 매칭 해주세요, 저희 애가 지금 헤르판지나에 걸렸는데…. 다음 달에 애가 걸릴 걸 미리 알고 신청하는 제도는 아니지 않나요?”
“아, 그런 제도가 있다고요…. 어머니, 제가 알아보고 연락을 다시 드릴게요.”
담당자도 모르는 제도를 알려주는 이용자라니. 그래도 이 덕에 이 센터에선 긴급 아이돌봄 서비스를 알게 됐고, 내가 거기 사는 동안 몇 번 더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알고 보니, 이 긴급 아이돌봄 서비스는 지자체마다 제공하는 방식이 다양했다. 내가 처음 경험한 지역의 서비스는 전산화가 되어 있어서 이용자가 웹이나 앱으로 신청할 수 있었다. 무척 편하게 이용했는데, 지금 사는 곳으로 이사 와서는 이 서비스를 거의 쓰지 않고 있다. 서비스 신청이 불편해졌기 때문이다.
아이돌봄 서비스는 여성가족부 소관으로 기관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후, 신청에는 지역 제한이 없었다. 그런데 지금 사는 곳에 이사 와서 웹으로 신청하니 담당자에게 바로 전화가 왔다. 신청을 취소하라고.
이유인즉, 전산화는 되어 있지만, 이 지역에선 수기작업을 한다고. 그래서 무조건 전화로 신청해야 하는데, 내가 지금 웹으로 신청한 것을 반려할 수 없으니 나보고 취소하라는 것이다(2018년 2월의 일이다, 지금은 아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서 어떻게 변했는진 모르겠다). 어처구니가 없어서 이용하지 않고 사설 업체에 돈 더 내고 긴급 서비스를 이용했다.
이후 다시 지역 센터에 연결해서 이용하려 했으나, 그땐 또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센터에 방문해 작성하지 않으면 일주일 이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연락을 받았다. 전산에 이미 개인정보 활용동의서와, 기타 서류를 모두 등록하고 이용자 등록까지 마쳤는데, 어째서 서면으로 작성해야 하냐고 물었더니 본인들은 전산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대답을 들었다.
중앙에서 뭘 만들면 뭐 하나, 지역에서 안 하는데…. 그래서 나는 지역에서 서비스받는 것은 포기했다. 이 서비스를 받으려면 센터에 가야 한다. 집에서 차로 30분가량 걸리고, 평일 낮 시간, 회사에서 가려면 차로 한 시간이 걸렸다. 위치가 회사-집-센터 순이었다.
그 사인 한 장을 하겠다고 반차까지 내고 싶지 않아서 그만뒀다. 접근성 떨어지는 서비스는 이용자에게 깔끔하게 포기를 선택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 바이러스와 거리 두는 삶 미리 배우는 것도 나쁘지 않지
이런 이유로 나는, 나와 남편이 알고 있는 온갖 지식을 총동원해, 아이가 전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온갖 ‘짓’을 하며 살고 있다. 그런데 사실, 감염병은 답이 없다. 바이러스나 세균은 인간과 살아온 세월이 세월이니만큼 워낙 ‘레벨업’이 잘 되어있고, 아이들은 워낙 잘 걸린다.
나는 과학자이지 의사가 아니다. 물론, 기본적인 감염 관련 약물 개발 연구 수업을 들었고, 예방 약학이란 수업을 통해, 환경이나 식품 등 인간이 마주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을 일러주는 책은 읽은 적 있으나, 감염병을 치료하는 의사가 아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기초적인 약학 수업을 통해 일상생활 내에서 최대한 감염병을 예방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알고 있다. 기침 조심, 마스크 필수, 수건은 각자, 식기도 각자, 손은 수시로 씻기, 손 소독제 있음 땡큐!
이런 방법을 통해 우리 부부는 아이를 키우며 되도록 감염병 걸리는 일 없이, 우리가 또 전염하는 일을 최대한 예방하며 살아왔다. 애가 아파도, 우리가 아파도 도움을 받을 수 없기에, 아프면 안 된다는 간단한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우리 부부 생각에, 아이들이 감염병, 특히 수족구병, 장염, 헤르판지나, 유행성결막염, 감기 등에 취약한 이유는 성장 특성과 매우 밀접하기 때문인 것 같다. 아이는 친구들과 함께 놀면서 온갖 세균과 바이러스를 공유한다.
침을 뚝뚝 흘리며 까르르거리는 유아기에는 침을 ‘촵촵’ 바른 손으로 서로 얼굴을 쓰다듬어 주고, 제 입에 넣었던 장난감을 친구 입에도, 엄마 입에도, 아빠 입에도 넣어주고, 콧물에 침에 서로 치덕치덕 바르고 뒹굴고 까르르거리는 것이 너무나도 당연한 시기가 존재한다.
이러한 시기에 아이들을 위해 선생님들이 그렇게 밤늦게까지 장난감과 보육실을 청소하고 소독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아이들은, 걸린다. 선생님의 애정 어린 소독은 아이들이 서로 입에 손 넣어주는 일을 이길 수 없는 것 같다.
이러한 문제는 아이들의 아픔으로 끝나지 않는다. ‘친절한 아이들’은 감기나 혹은 장염에 걸린 채 엄마 아빠에게 부비부비 침을 칠하고…, 제 침 묻은 손을 엄마 아빠 입에 넣기도 하고, 사용한 숟가락이나 포크로 음식을 찍어 엄마 아빠 입에 넣어주기도 한다. 어찌나 이렇게 효심이 갸륵한지(아플 땐 아프더라도 혼자 아프지 않겠다는 갸륵한 마음일까).
그래서 우리는 같이 아팠다. 이런 일을 반복해서 겪으며 우리는 성장했다. 손 소독제를 잔뜩 사서 애와 아이 물건을 수시로 닦았다. 집에서 매일 아이 물건을 삶을 수 없었기에 뿌리는 소독제(장난감 소독제나 락스 등)와 에탄올을 쌓아놓고 살았다. 그래서, 이 코로나 시국에도 늘 확보해놓은 소독제 마스크, 그리고 이미 몸에 밴 기본 생활 수칙으로 ‘무사히’ 연명 중이다.
코로나19는 우리의 삶을 많이 바꿨다. 우리 아이는 이제 마스크도 잘 쓰고 다니게 됐고, 손 씻는 것의 중요성, 위생의 중요성, 그리고 손 소독제의 중요성도 더 잘 알았다. 엄마 아빠가 밖에서 밥 먹을 때 습관적으로 물티슈로 상을 닦는 이유도 알았다. 밖에 나갔다 들어오면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 올해 코로나19가 남겨준 가장 큰 수확이 아닐까.
나쁘지 않은 변화인 것 같다. 바이러스와 세균은 인간의 삶에서 뗄 수 없으므로, 애초에 어릴 때부터 이 바이러스와 세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법을 안다는 건 나쁘지 않은 것 같다. 이쯤 되면 이제, 전염병과 싸워서 인간이 이길 수 있다고 믿는 이상한 어른들이 문제 아닐까.
*칼럼니스트 윤정인은 대학원생엄마, 취준생엄마, 백수엄마, 직장맘 등을 전전하며 엄마 과학자로 살기 위해 '정치하는엄마들'이 되었고, ESC(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에서 젠더다양성특별위원회의 위원장이 되어 프로불만러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사실은 회사 다니는 유기화학자입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email protected]】
출처: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9250
- 4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