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입법촉구 문자행동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입법촉구 문자행동] 함께 해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입법 문자행동👊  국회 법사위 소속 의원 문자보내기📱 ▶️참여방법 1. 법사위 국회의원에게 문자발송 2. 문자 캡처화면을 본인SNS에 해시태그와 함께 게시 (#매일7명이퇴근하지못하는나라 #더이상죽을수없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즉각제정 #정치하는엄마들) 말로 해서는 안된다는 걸 알면서도 말을 할 수밖에 없으니 더욱 참담하다. 노동자들이 몸이 터져서 죽으면 사업체 대표나 담당관리들이 빈소에 와서 ‘명복을 빈다’는 화환을 들이민다. 나는 ‘명복을 빈다’라는 말에 분노를 느낀다. 현세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 명복을 빈다니, 노동자들은 명복을 누리려고 고공 작업장으로 올라가는가. 명복은 없다.
  • [정치하마] 정치하는엄마들 직접행동 함께 해요!
    정치하는엄마들입니다! 두 가지 직접행동 함께 해주세요~ 1.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입법 촉구 문자행동 함께 해요!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 고 이한빛님의 아버지, 고 김용균님의 어머니가 국회 앞에서 14일째 단식하고 계십니다. OECD 산재 사망률 21년째 1위, 매년 2400여명의 노동자들이 일터에 죽습니다. 대한민국 정부와 국회는 생명을 경시하고 이윤만 쫓는 기업편에 서서 죽음의 행렬을 방조해 왔습니다. 오후 2시에 국회 법사위 속개할 예정입니다. 법사위 위원들에게 문자를 보내주세요! <문자예시> 저는 정치하는엄마들 OOO입니다. 산재사망률 1위 대한민국, 산재는 인재입니다. 기업주와 경영책임자와 원청이 노동자의 죽음에 책임을 지고 처벌받아야 합니다. 죽음의 행렬을 막기 위해서 지금 당장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필요합니다. 누더기법은 절대 안됩니다. 노동자의 죽음을 진짜로 막을 수 있는 법을 만드세요! 국회의원의 책임과 의무를 다 하세요!
  • [공지] 정치하는엄마들 페이스북 그룹명 변경되었습니다
    정치하는엄마들 온라인운영팀의 논의를 거쳐 "모두하마(모두에게 열린 정치하는엄마들)"로 그룹명이 변경되었습니다.   이 그룹은 정치하는엄마들 회원들과 더불어, 모든 사람들이 서로를 존중하며 평등하게 말할 수 있도록 애써 만들어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정치하는엄마들 정식 회원 가입은 검색창에 ‘회원가입. org’ 를 치시거나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합니다.  www.politicalmamas.kr   함께 이름 고민해주신 분들, 다시 한 번 고맙습니다.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 [연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입법촉구 연대 활동
    <함께해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제정 촉구 행동 2018년 12월 10일 김용균님이 태안화력발전소의 하청업체에서 일하다 컨베이어벨트 위에서 숨진지 벌써 두 해가 지난 오늘, 산재유가족 고 김용균님의 어머니 김미숙님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촉구하며 국회 앞에서 단식농성 중입니다.  사람 목숨을 지키는 일에 여야 없고 귀천 없습니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안은 강은미(정의당), 박주민(민주당), 임이자(국민의힘당) 그리고 고 김용균, 김미숙님의 뜻에 마음 모은 시민들 10만명 동의를 받은 국민동의청원으로 국회 환노위에 올라간 것까지 여럿 발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발의만 된 법안들은 올해 정기국회 마감할 때까지 소위 논위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 [연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원안대로 연내 제정!
    [연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원안대로 연내 제정! ‘일하다 죽지 않게 해달라!’ 정치하는엄마들은 12월 18일 오전 동조단식을 시작으로 국회 앞 횡단보도 피켓팅, 국회에서 민주당 당사 앞까지 피켓팅에 이어 국회 본청 앞 단식 농성장에 다녀왔습니다.  국회 담장 밖 단식 11일차 김주환님과 국회 본청 앞에서 단식 7일차 고 김용균 어머니 김미숙님, 고 이한빛 아버지 이용관님을 만났습니다.  일터에서 숨진 사람들은 아이들의 미래였습니다. 자식을 잃은 사람들은 오늘의 우리였습니다. 자본의 이익 앞에 삶이 스러지는 일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어떠한 생명도 잃을 수 없습니다. 지난 20대 국회에 유치원3법, 어린이생명안전법 등을 세상 밖으로 이끌어냈던 정치하는엄마들이 연대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또다시 김용균 없는 김용균법이 되지 않도록, 10만 국민 청원으로 법사위에 계류중인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원안대로 통과되길 촉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