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투명장벽의 도시②> | 어린이 10명 중 6명, ‘노키즈존은 차별’…“차별받은 아이는 차별하는 어른 될 것 ”

투명장벽의 도시②

어린이 10명 중 6명, ‘노키즈존은 차별’…“차별받은 아이는 차별하는 어른 될 것 ”

 


경향신문은 지난 8월31일부터 9월1일까지 서울하늘숲초 6학년 전교생을 대상으로 노키즈존에 대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했다. 전교생 95명 중 86명이 조사에 응했고, 이중 12명이 지난달 21일 인터뷰에 참여했다. 조사결과 69.8%(60명)가 노키즈존을 인지하고 있었고, 62.8%(54명)는 노키즈존이 ‘어린이에 대한 차별’이라고 응답했다. 83.7%(72명)는 ‘식당이나 카페 주인이 돼도 노키즈존을 만들 생각이 없다’고 했고 47.7%(41명)는 ‘성인이 된 뒤에도 노키즈존 시설에 방문하지 않겠다’고 했다. 하늘숲초 6학년 12명의 어린이들과 진행한 심층인터뷰를 일문일답으로 정리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재황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재황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노키즈존을 언제 처음 알게 됐는지 기억 하나요?

재황 = 3학년 때 엄마랑 지나가다 식당에 ‘노키즈존’이라고 써붙인 걸 봤어요. 뜻을 듣고 어린이 차별 아닌가 싶었어요. 나중에 어른이 되면 복수해야지, 생각 했어요.

병훈 = 초등학교 4학년 때 엄마랑 뉴스를 보다가 노키즈존 기사가 나와서 알게 됐어요. 특정한 사람만 특정 장소에 못 들어가게 하는 건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했어요.

예원 = 친구들이 놀러다닐 때 노키즈존이 있어서 못 들어갔다고 얘기한 걸 들은 적 있어요. 왜 그런 곳이 있나 궁금하기도 했고 기분이 나쁘기도 했어요. 아이들을 차별하는 기분이 들어서요.

하은 = 몇 년 전에 좋아하는 아이돌 콘서트를 예매하려고 하는데, ‘미성년자 관람 불가’라고 쓰여 있어서 못했던 기억이 있어요.

서울하늘숲초 6학년 해민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해민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노키즈존에 갔던 경험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 제가 8살, 동생이 5살이었어요. 겨울이었는데 서두르느라 외투도 없이 엄마, 동생이랑 빵집에 갔어요. 거기가 빵은 되게 맛있거든요. 노키즈존이라는 게 문제죠. 밖에서 기다리느라 추웠던 기억이 나요.

하은 = 지난 달에 가족들과 여행을 갔는데 기념품 가게가 있었어요. 어린이들은 못 들어가는 곳이라고 해서 엄마랑 아빠만 들어갔어요. 동생하고 둘이 밖에 있었는데 밤이라 무서웠어요.

서울하늘숲초 6학년 예원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예원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어른들은 노키즈존을 만드는 이유에 대해 “어린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서” “다른 손님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서”라고 설명하곤 합니다. 이런 말에 동의하나요?

예원 = 이해는 해요. 하지만 아이들을 위한 안전한 공간 대신 노키즈존만 만드는 것은 잘못된 것 같아요.

 = 반대해요. 아아들이 다칠까봐 걱정이 되는거면 가구 모서리에 스폰지를 붙이는 것처럼 안전 조치를 하면 되잖아요.

한별 = 아니요. 안 그래도 요즘 인종이나 성별로 차별하는 일이 많은데 나이로까지 차별하는 것 같아요.

다애 = 차별의 이유가 되지 못해요. 아이들은 아직 어리기 때문에 사고를 칠 수도 있어요. 하지만 노키즈존으로 막기만 하면 안 돼요. 아이들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지잖아요.

재황 = 어린이들이 꼭 다 시끄러운 건 아니잖아요. 그런 아이들이 오면 경고를 주고 조심하게 하면 됩니다.

재준 = 저는 동의해요. 시끄러운 어린이를 자제시키는 건 어려우니까 처음부터 못 들어오게 하는 게 나아요.

서울하늘숲초 6학년 서현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서현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그런데 어른들은 왜 노키즈존을 만든다고 생각해요?

예원 = 안전한 공간을 만드는 것보다 더 쉽고 비용도 아낄 수 있어서요.

한별 = 자기 이익을 위해서 아닐까요. 분위기를 중요하게 여기는 식당이나 카페에서는 시끄럽게 떠들고 소리 지르고 우는 아이들이 방해가 되잖아요.

 = 어린이도 올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만드려면 돈이 더 많이 들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그런 것 같아요.

서울하늘숲초 6학년 하은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하은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다애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다애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커서 어른이 된다면 노키즈존을 방문하거나 직접 운영할 생각이 있나요?

하은 = 차별하는 거잖아요. 그런 곳에 가서 그 의견에 동조해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제 식당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발생해도 노키즈존으로 만들 생각은 없어요. 어린이는 아직 다 자라지 않은 거 잖아요. 충분히 실수할 수 있고, 앞으론 그러면 안 된다고 깨우쳐줘야죠.

예원 = 어릴 때 차별받은 느낌 때문에 노키즈존을 방문하거나 운영하고 싶지는 않을 것 같아요. 대신 제가 운영하는 식당이나 카페 안에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뛸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고 싶어요.

 = 안 만들고 안 갈 거예요. 차별이니까요. 애들은 원래 시끄럽게 크는 건데, 애들이 시끄럽다는 이유로 노키즈존을 만드는 건 그냥 애들이 싫으니까 들어오지 말라는 거잖아요.

한별 = 어른이 돼도 노키즈존이 불쾌하다는 감정은 그대로일 것 같아서 찾지 않게 될 것 같습니다. 운영도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재준 = 식당 사장이 되면 노키즈존으로 운영할 거예요. 어린이들한테 인권도 있지만 제 인권도 있어서요. 조용한 가게를 운영하고 싶어요.

해민 = 노키즈존을 만들고 싶진 않아요. 외식할 수 있는 식당 중에 노키즈존이 많아지면 어린아이들은 밖에 나가서 음식을 먹을 수 없는 거잖아요.

서울하늘숲초 6학년 범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범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그럼 노키즈존이 차별이라고 생각하나요?

재황 = 네. 어린이들만 떠든다고 생각하니까요. 어른들도 시끄럽게 떠들고 접시 깨뜨리는 실수할 수 있잖아요. 어른들이 조심스럽게 행동하고 장난치지 않는다는 건 편견인 것 같아요.

서현 = 차별이라고 생각해요. 왜나하면 ‘아이들과 함께 있는 것은 불편하다’는 생각 때문에 노키즈존을 만드는 거니까요.

 = 차별이에요. 모든 아이들은 다 시끄럽다는 편견으로 못 들어오게 하는 거니까요. 그리고 애들이 왜 조용히 해야 해요? 그냥 호기심이 많고 물어볼 게 많은 것뿐인데.

한별 = 어린이들이 시끄럽고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해서 출입을 불허하는 것은 차별이에요. 모든 어린이들이 그러는 것이 아닌데 편견을 가지고 선을 그어버리는 거니까요.

하은 = 어른과 어린이가 다르다고 해서 ‘어린이는 안돼’라고 막는 게 차별이라고 생각해요.

스완 = 네. 차별은 고정관념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것인데, 어린이는 당연히 시끄럽다는 생각으로 모두 못 들어오게 하니까요.

해인 = 차별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실제로 식당에서 사고를 치는 아이들도 있잖아요. 그걸 미리 방지하는 것이 노키즈존이라고 생각해요.

서울하늘숲초 6학년 병훈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병훈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차별을 하면 왜 안 되나요?

한별 = 계속해서 사람들이 서로 나뉘어서 헐뜯다 보면 사람 간의 신뢰와 공생이 안 되니까요.

스완 = 사람마다 다 특징이 다른데 거기서 더 좋고 나쁘고를 나누면 안 돼요. 차별받는 사람은 기분이 나쁘고 자기애 같은 게 떨어질 것 같아요.

해인 = 차별은 사람을 나눠가지고 어떤 사람이 더 낫다는 편견을 갖게 하니까 나빠요.

재준 = 사람은 다 다른데 차별은 ‘넌 틀렸어’라고 말하는 것과 같아서요.

 

 

노키즈존을 이용하고 만드는 어른들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 어른들이 차별하지 말라고 해놓고서 어른들이 차별하는. 그러니까 되게 열받아요.

한별 = 이기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서현 = 어른들이 차별을 하면 안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노키즈존을 만들었잖아요. 저는 그렇게 말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서울하늘숲초 6학년 한별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한별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그럼 노키즈존은 이 세상에서 없어져야 할까요?

해민 = 아이들에게 벽을 치고 ‘너네는 여기 들어오면 안돼’라고 하면, 아이들이 기분좋게 밥 먹으러 나왔다가 큰 상처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노키즈존이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예원 = 네. 그래야 아이들도 차별을 받지 않고 어른들이랑 똑같이 여러 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니까요.

한별 = 없어지는 건 안 돼요. 어린이가 가면 위험한 장소에는 필요해요. 하지만 단순히 어린이들이 시끄럽다고 해서 노키즈존을 만드는 것은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재준 = 노키즈존이 없어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요. 식당이나 카페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일단 벌어진 후에는 그 뒤처리가 어려울 것 같기 때문입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재준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하늘숲초 6학년 재준이가 지난달 21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노키즈존이 어린이가 성장하는 데 어떤 영향을 준다고 생각해요?

서현 = 차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아이는 남을 차별하는 어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해인 = 어른에 대한 불만을 갖고 자랄 수 있을 것 같아요.

재황 = 노키즈존을 경험한 어린이들이 크면 나중에 똑같이 복수하지 않을까 싶어요.

해민 = 노키즈존에서 ‘나는 여기 들어가면 안 된다’는 경험을 하니까, 어디 갈 때마다 나는 함부로 들어가면 안 되는구나 하고 주눅이 들 것 같아요.

 


🟣[경향신문| 기자 김지혜] 기사 전문 보기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10101516011

 

날짜
종료 날짜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