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취재 후] 혐오성 댓글, 누구 책임인가
“추운 겨울, 사촌오빠와 덕수궁 구경하러 갔다가 와플을 사먹었습니다. 와플 가게엔 포장하는 곳과 앉아서 먹을 수 있는 카페가 따로 있었는데, 카페는 ‘노키즈존’이라고 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눈을 맞으며 꽁꽁 언 손으로 담벼락에 서서 와플을 먹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지난 7월 11일 국회에서 열린 ‘노키즈존 넘어 아동친화사회로’ 토론회에서 초등학교 4학년인 이지예 활동가가 털어놓은 ‘노키즈존 경험담’입니다.
어린이 활동가들이 직접 나선 이번 토론회를 앞두고 주최 측인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실은 언론사에 “댓글창을 비활성화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당사자들을 향해 쏟아질 혐오성 댓글을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댓글창 폐쇄’가 이제 더는 낯설지 않은 선택이 됐습니다. 지난해 10월 이태원 참사 직후 관련 기사엔 유가족을 향한 혐오·모욕성 댓글이 줄줄이 달렸습니다. 일부 언론사는 자체적으로 댓글창을 닫았고, 유가족협의회가 직접 폐쇄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2021년 5월엔 정준영 불법촬영 사건의 피해자가 성범죄 기사 댓글창의 방치는 ‘살인 방조’와 같다면서 폐지를 요구하는 국민청원을 올려 공론화를 시도한 바 있습니다.
혐오와 모욕이 난무하는 댓글창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삭제 및 퇴장 조치’ 등으로 엄격히 관리하자는 의견도 있고, 폐지하자는 의견도 있습니다. 어떤 길을 택하건 언론과 포털이 댓글창에 대한 책임의식을 분명히 갖는 과정이 선행돼야 하겠지요.
사실 혐오 댓글을 쏟아내는 ‘그들’만 지적하기엔 기자로서 마음 한구석이 불편합니다. ‘클릭’을 유도하는 자극적 기사에는 필연적으로 악성 댓글이 붙습니다. 그럼에도 언론은 수익을 위해 그런 기사를 양산해왔습니다.
기자인 저도 혐오성 댓글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앞으로 언론과 포털이 ‘혐오의 댓글창’ 해법을 적극 모색할 수 있도록 언론사 구성원으로서 목소리를 내겠습니다. 감정을 배설하는 댓글이 여론으로 오인되지 않도록 말입니다.
<송윤경 기자 [email protected]>
🟣[경향신문 |취재 후] 기자 송윤경전문 보기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2307141119281
🙋🏽♀️🤱🏼🤰🏼🏃🏽♀️👩🏽🦯🙎🏻♀️👩🏻🦽🧕🏼👨🏻🍼🙆🏻♀️
정치하는엄마들이 궁금하시다면?
http://linktr.ee/politicalmamas
- 7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