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고] 우리는 왜 8개월만에 공동육아를 포기했나 (권영은활동가)

    [포커스] 우리는 왜 8개월만에 공동육아를 포기했나

    우리는 왜 8개월 만에 공동육아를 포기했나

     

    2020년 가을, 권영은씨 아이가 공동육아 어린이집 친구의 손을 잡고 뒷산을 산책하고 있다. 권영은 제공

     

    2019년 이맘때, 1년 육아휴직 했던 남편이 복귀했다. 아이의 어린이집을 결정해야 했다. 아이가 친환경 먹거리를 먹고 자연에서 놀 수 있었으면 했다. 무엇보다 평등하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자라나길 바랐다. 일단 가정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면서 부모들이 출자금을 내어 운영하는 ‘협동조합형 공동육아’ 어린이집을 찾아보기로 했다.

     

     

    평등하고 따스하다고 생각했으나

  • [기고] [식판전쟁] 정치하는엄마들 여성신문 연재

    [식판전쟁] 정치하는엄마들 여성신문 연재

    정치하는엄마들 급식팀은 2020년 9월 8일부터 11월 24일까지 여성신문에 총 10회의 칼럼을 기고했습니다. 

    작년 어린이집 급간식비 현실화 운동으로 급간식비 인상을 이끌어낸지 벌써 일 년. 그 이후 2020년 현재 아이들의 식판은 얼마나 변했을까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이지만, 함께 한다면 그렇게 힘들기만 한 일은 아닐 겁니다. 

    아이들도 보살피는 이들도 모두 안심하고 행복할 그 날을 좀더 앞당겨 만날 수 있도록 정치하는엄마들과 함께 해주세요. 

    ◆ 급식 비리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장하나)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095

  • [연구보고서] 2019 하반기 서울연구원 「양육 당사자가 만드는 갈등없는 아이키우기」 (임애리, 이효진 활동가)

    2019 하반기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좋은서울" 기획주제 연구보고서

    「양육 당사자가 만드는 갈등없는 아이키우기」

    ▣연구책임 : 정치하는엄마들 임애리
    ▣연구진: 정치하는엄마들 이효진

    ▣본문내용 中
     양육자는 사회적 약자인 미성년자의 보호와 안전에 대한 1차적 책임 소재자로, 끊임없는 부담과 양육 노동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저출생 시대를 살아가는 양육자들은 수적으로도 소수의 입장에 처해 있는 약자이다. 양육자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어떻게 대변하고  싶어 하며, 어떤 갈등에 노출되어 있으며, 어떤 갈등 해소 방식을 원하고 있을까?

  • [기고] 육아전쟁 비상사태! '전우'가 사라졌다 (윤정인활동가)

    육아전쟁 비상사태! '전우'가 사라졌다

    •  칼럼니스트 윤정인

    [엄마 과학자 생존기] 3주간의 돌봄노동이 과학자에게 미치는 영향

  • [칼럼] [식판전쟁] (끝) 정치하는엄마들이 바라는 급식

    [식판전쟁] 2025년 우리 아이 급식과 돌봄 풍경

    •  정치하는엄마들

    [식판전쟁] (끝) 정치하는엄마들이 바라는 급식